라쳇 & 클랭크: 공구전사 위기일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쳇 & 클랭크: 공구전사 위기일발》은 슈팅, 액션, 플랫폼 게임 요소를 혼합한 게임으로, 전투에 중점을 둔 작품이다. 3인칭 시점에서 라쳇을 조작하여 미션을 수행하며, 2인 협동 모드와 다양한 무기 및 장비를 제공한다. 온라인 및 로컬 멀티플레이어를 지원하며, 챌린지 모드를 통해 게임을 더욱 즐길 수 있다. 이 게임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전 세계적으로 21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쳇 & 클랭크 - 갤럭시 히어로즈: 라쳇 앤 클랭크
갤럭시 히어로즈: 라쳇 앤 클랭크는 2016년 개봉한 애니메이션 영화로, 래챗과 클랭크가 악당 드렉을 막고 은하를 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흥행에는 실패했다. - 라쳇 & 클랭크 - 라쳇 & 클랭크: 리프트 어파트
《라쳇 & 클랭크: 리프트 어파트》는 인섬니악 게임즈가 개발하고 플레이스테이션 5 독점 타이틀로 출시된 액션 플랫폼 게임으로, "리프트" 시스템을 통한 실시간 차원 간 이동과 라쳇, 리벳 두 주인공의 모험을 그리며, 다양한 무기와 PS5의 성능을 활용한 시각 효과와 햅틱 피드백으로 몰입감을 제공한다. - 2005년 비디오 게임 - 쿠사리
《쿠사리》는 Leaf의 오사카 개발실에서 제작한 어드벤처 게임으로, 초고속 실험선 바실리스크호의 첫 시험 항해 중 벌어지는 끔찍한 사건들과 그 중심에 있는 키시다 요이치의 음모를 다룬다. - 2005년 비디오 게임 - 소닉 X
소닉 X는 세가의 원안을 바탕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으로, 닥터 에그맨과 소닉 일행의 모험을 그리며, 1기에서는 인간 세계를 배경으로, 2기에서는 우주를 배경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 액션 게임 - 메탈 기어
메탈 기어는 히데오 코지마가 디자인한 잠입 액션 게임 시리즈로, '메탈기어 솔리드'를 통해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며 스텔스 게임 장르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액션 게임 -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
《그랜드 테프트 오토: 산 안드레아스》는 2004년 락스타 노스가 개발하고 테이크투 인터랙티브가 배급한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범죄자 칼 "CJ" 존슨이 되어 산 안드레아스 주를 배경으로 미션을 수행하고 오픈 월드를 탐험하며, 거대한 게임 세계, 자유도 높은 게임플레이, 깊이 있는 스토리, "핫 커피" 논란 등이 특징이다.
라쳇 & 클랭크: 공구전사 위기일발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목 | 라쳇: 데드락 |
시리즈 | 라쳇 & 클랭크 |
개발 | |
개발사 | 인섬니악 게임즈 |
배급사 |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
디렉터 | 브라이언 헤이스팅스 |
디자이너 | 마이클 스타우트 트로이 더니웨이 코리 스톡턴 |
프로그래머 | 키스 리 |
작가 | 브라이언 헤이스팅스 |
작곡가 | 데이비드 베르조 |
출시 | |
PlayStation 2 | 북미: 2005년 10월 25일 유럽: 2005년 11월 18일 호주: 2005년 11월 24일 일본: 2005년 11월 23일 (라쳇&클랭크4th ギリギリ銀河のギガバトル) 한국: 2005년 10월 25일 (라쳇 & 클랭크: 공구전사 위기일발) |
PlayStation 3 | 북미: 2013년 5월 21일 유럽: 2013년 9월 25일 |
장르 | |
장르 | 3인칭 슈팅 게임 플랫포머 |
게임 모드 |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멀티플레이어 |
기타 정보 | |
CERO | A |
ESRB | 십대 |
PEGI | 16+ |
USK | 16 |
OFLC | G |
판매량 | 233,375개 (일본) |
2. 게임플레이
### 기본 시스템
《라쳇 & 클랭크: 공구전사 위기일발》의 게임플레이는 이전 시리즈와 유사하게 슈팅, 액션, 플랫폼 게임 요소가 혼합되어 있지만, 플랫폼 게임 요소는 거의 없고 전투 측면에 더 집중되어 있다.[6] 난이도 조절 기능과 2인 협동 스토리 모드를 지원한다.[6][7]
플레이어는 3인칭 시점에서 라쳇을 조종하며 미션과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적을 물리치고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6] 라쳇을 지원하는 2대의 "전투 로봇"은 추가 화력을 제공하고 폭탄 설치, 오브 해킹 등 여러 작업을 수행한다.[6] 전투 로봇은 업그레이드 및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6] 미션을 완료하면 일정량의 "데드포인트"와 게임 내 통화인 볼트를 획득하며, "데드포인트"는 새로운 행성의 잠금을 해제하고 라쳇의 순위에 영향을 미친다.[6]
라쳇의 로봇 파트너인 클랭크는 스킨을 잠금 해제한 경우에만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이며, 이전 게임과 달리 라쳇의 제트팩 장치로 사용할 수 없다.[6] 대신 미션 컨트롤 역할을 하며 게임 플레이 중에 플레이어에게 조언을 제공한다.[6] 협동 모드에서 두 번째 플레이어를 위한 스킨은 "알파 클랭크"로 기본 설정되어 있지만 변경할 수 있다.[6]
협동 모드에서 두 번째 플레이어는 전투 로봇을 대신하며, 필요한 경우 플레이어가 로봇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6] 협동 모드의 플레이어는 무기와 탄약 공급을 공유해야 하며, 두 플레이어가 동시에 동일한 무기를 사용할 수 없다.[6]
《데드락》에는 4대의 사용 가능한 차량이 있다: 레이저가 장착된 항공기인 "호버쉽", 장갑차인 "퓨마", 4개의 거미 다리와 무기를 가진 대형 플랫폼인 "랜드스토커", 그리고 레이싱과 전투에 모두 사용되는 호버링 차량인 "호버바이크"가 있다.[6] "랜드스토커"는 언제든지 두 명의 플레이어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지만, "호버바이크"는 한 명의 플레이어만 사용할 수 있다.[6]
게임을 완료한 후 플레이어는 "챌린지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챌린지 모드에서는 무기를 더 업그레이드하고, 더 많은 모드를 구매할 수 있으며, 이전에 사용할 수 있었던 가장 어려운 난이도보다 더 어려운 새로운 난이도와 같은 추가 "엑스트라"를 사용할 수 있다.[6]
### 무기 및 장비
《라쳇 & 클랭크: 공구전사 위기일발》은 슈팅, 액션, 플랫폼 게임 요소가 혼합된 게임으로, 특히 전투에 중점을 두고 있다.[6] 플레이어는 라쳇을 조종하여 다양한 미션과 토너먼트에서 적을 물리치고, 때로는 차량을 조종한다.[6]
이번 작품에는 10개의 무기가 등장하며, 이는 이전 시리즈보다 적은 수이다. 하지만 각 무기는 "알파" 및 "오메가" 모드를 통해 광범위하게 수정할 수 있다.[6] 알파 모드는 발사 속도 및 탄약 용량과 같은 통계를 향상시키고, 오메가 모드는 네이팜탄이나 적을 얼리는 능력과 같은 보조 효과를 추가한다.[6] 예를 들어 네이팜탄은 폭발성 탄약을 사용하는 무기에만 사용할 수 있다. 플레이어는 게임을 진행하면서 "아비터" (로켓 발사기), "스콜피온 플레일" (강력한 근접 무기) 등 더 많은 무기와 모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볼트를 사용하여 판매업체에서 구매할 수 있다.[6] 무기는 경험치를 통해 더 강력한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으며, 최대 레벨은 10 (챌린지 모드에서는 99)이다.[6] 게임의 체력 시스템인 나노테크 또한 적을 물리쳐 경험치를 쌓아 업그레이드할 수 있으며, 최대 레벨은 100 (챌린지 모드에서는 999)이다.[6] 플레이어가 피해를 입었을 때 나노테크 상자를 파괴하여 체력을 회복할 수 있다.[6] 게임에는 최대 165개의 스킬 포인트가 있으며, 특정 위업을 수행하여 잠금 해제할 수 있는 엑스트라도 포함되어 있다.[6]
### 멀티플레이어
《라쳇 & 클랭크: 공구전사 위기일발》은 온라인 및 로컬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제공한다.[6] 최대 4명의 플레이어가 오프라인 멀티플레이어 매치에서 로컬로 플레이할 수 있으며, 온라인 매치에서는 10명이 플레이할 수 있다.[6] 온라인 모드는 USB 키보드와 USB 헤드셋을 지원하며,[6] 싱글 플레이어의 모든 레벨은 멀티플레이어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8] 플레이어는 "정복", "데스매치", "깃발 뺏기", "킹 오브 더 힐", "재거너트" 모드 등 다양한 모드를 즐길 수 있다.[6]
2. 1. 기본 시스템
《라쳇 & 클랭크: 공구전사 위기일발》의 게임플레이는 이전 시리즈와 유사하게 슈팅, 액션, 플랫폼 게임 요소가 혼합되어 있지만, 플랫폼 게임 요소는 거의 없고 전투 측면에 더 집중되어 있다.[6] 난이도 조절 기능과 2인 협동 스토리 모드를 지원한다.[6][7]플레이어는 3인칭 시점에서 라쳇을 조종하며 미션과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적을 물리치고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6] 라쳇을 지원하는 2대의 "전투 로봇"은 추가 화력을 제공하고 폭탄 설치, 오브 해킹 등 여러 작업을 수행한다.[6] 전투 로봇은 업그레이드 및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6] 미션을 완료하면 일정량의 "데드포인트"와 게임 내 통화인 볼트를 획득하며, "데드포인트"는 새로운 행성의 잠금을 해제하고 라쳇의 순위에 영향을 미친다.[6]
이번 작품에는 10개의 무기가 등장하며, 이는 이전 시리즈보다 적은 수이다. 하지만 각 무기는 "알파" 및 "오메가" 모드를 통해 광범위하게 수정할 수 있다.[6] 알파 모드는 발사 속도 및 탄약 용량과 같은 통계를 향상시키고, 오메가 모드는 네이팜탄이나 적을 얼리는 능력과 같은 보조 효과를 추가한다.[6] 예를 들어 네이팜탄은 폭발성 탄약을 사용하는 무기에만 사용할 수 있다. 플레이어는 게임을 진행하면서 "아비터" (로켓 발사기), "스콜피온 플레일" (강력한 근접 무기) 등 더 많은 무기와 모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볼트를 사용하여 판매업체에서 구매할 수 있다.[6] 무기는 경험치를 통해 더 강력한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으며, 최대 레벨은 10 (챌린지 모드에서는 99)이다.[6] 게임의 체력 시스템인 나노테크 또한 적을 물리쳐 경험치를 쌓아 업그레이드할 수 있으며, 최대 레벨은 100 (챌린지 모드에서는 999)이다.[6] 플레이어가 피해를 입었을 때 나노테크 상자를 파괴하여 체력을 회복할 수 있다.[6] 게임에는 최대 165개의 스킬 포인트가 있으며, 특정 위업을 수행하여 잠금 해제할 수 있는 엑스트라도 포함되어 있다.[6]
라쳇의 로봇 파트너인 클랭크는 스킨을 잠금 해제한 경우에만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이며, 이전 게임과 달리 라쳇의 제트팩 장치로 사용할 수 없다.[6] 대신 미션 컨트롤 역할을 하며 게임 플레이 중에 플레이어에게 조언을 제공한다.[6] 협동 모드에서 두 번째 플레이어를 위한 스킨은 "알파 클랭크"로 기본 설정되어 있지만 변경할 수 있다.[6]
협동 모드에서 두 번째 플레이어는 전투 로봇을 대신하며, 필요한 경우 플레이어가 로봇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6] 협동 모드의 플레이어는 무기와 탄약 공급을 공유해야 하며, 두 플레이어가 동시에 동일한 무기를 사용할 수 없다.[6]
《데드락》에는 4대의 사용 가능한 차량이 있다: 레이저가 장착된 항공기인 "호버쉽", 장갑차인 "퓨마", 4개의 거미 다리와 무기를 가진 대형 플랫폼인 "랜드스토커", 그리고 레이싱과 전투에 모두 사용되는 호버링 차량인 "호버바이크"가 있다.[6] "랜드스토커"는 언제든지 두 명의 플레이어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지만, "호버바이크"는 한 명의 플레이어만 사용할 수 있다.[6]
게임을 완료한 후 플레이어는 "챌린지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챌린지 모드에서는 무기를 더 업그레이드하고, 더 많은 모드를 구매할 수 있으며, 이전에 사용할 수 있었던 가장 어려운 난이도보다 더 어려운 새로운 난이도와 같은 추가 "엑스트라"를 사용할 수 있다.[6]
이 게임은 온라인 및 로컬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제공한다. 최대 4명의 플레이어가 오프라인 멀티플레이어 매치에서 로컬로 플레이할 수 있으며, 온라인 매치에서는 10명이 플레이할 수 있다.[6] 온라인 모드는 USB 키보드와 USB 헤드셋을 지원하며,[6] 싱글 플레이어의 모든 레벨은 멀티플레이어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8] 플레이어는 "정복", "데스매치", "깃발 뺏기", "킹 오브 더 힐", "재거너트" 모드 등 다양한 모드를 즐길 수 있다.[6]
2. 2. 무기 및 장비
《라쳇 & 클랭크: 공구전사 위기일발》은 슈팅, 액션, 플랫폼 게임 요소가 혼합된 게임으로, 특히 전투에 중점을 두고 있다.[6] 플레이어는 라쳇을 조종하여 다양한 미션과 토너먼트에서 적을 물리치고, 때로는 차량을 조종한다.[6]이 게임에는 10개의 독특한 무기가 등장하며, 각 무기는 "알파" 및 "오메가" 모드를 통해 성능을 향상시키고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6] 알파 모드는 발사 속도, 탄약 용량 등 기본적인 성능을 향상시키고, 오메가 모드는 네이팜탄 발사, 적을 얼리는 능력 등 부가적인 효과를 추가한다.[6] 예를 들어, 듀얼 바이퍼는 양손에 머신 피스톨을 장비하는 초기 무기로, 메가 듀얼 래피더로 강화하면 벽이나 적에게 튕기는 탄을 발사한다. 마그마 샷은 샷건 타입의 무기로, VOX 인더스트리가 제작했으며, 리액터는 "적당히 쏴도 이 녀석은 맞춰줄 거야. 귀여운 녀석이지!"라고 평가했다. 로켓 아비터는 로켓포 타입의 무기로, 메가 로켓 사일런서로 강화하면 한 번에 3발의 탄을 발사하며, VOX 인더스트리가 개발하여 카보노스 소재도 날려버릴 정도의 위력을 자랑한다.
무기 외에도 옴니렌치, 차지 부츠, 그래비티 부츠 등 라쳇 & 클랭크 시리즈의 전통적인 장비도 등장한다. 옴니렌치는 기본 무기인 렌치로, 사용 횟수에 제한이 없지만 공격력이 낮다. 차지 부츠는 일정 시간 빠른 속도로 대시할 수 있게 해주는 신발이며, 그래비티 부츠는 금속 벽 표면을 걸을 수 있게 해준다.
무기들은 볼트를 사용하여 판매업체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경험치를 쌓아 더 강력한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6] 최대 레벨은 10(챌린지 모드에서는 99)이다.[6] 또한, "알파 튠"과 "오메가 튠"을 통해 무기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알파 튠은 무기의 레벨 업 시 자동으로 장착되며, 스피드 튠(연사 속도 강화), 탄약 튠(장탄수 증가) 등이 있다. 오메가 튠은 한 번에 하나만 장착할 수 있으며, 나팜 튠(공격 명중 시 용암 발생), 프리즈 튠(적을 얼림) 등이 있다.
게임을 완료한 후에는 "챌린지 모드"를 선택하여 무기를 더 업그레이드하고, 더 많은 모드를 구매할 수 있다.[6]
2. 3. 멀티플레이어
《라쳇 & 클랭크: 공구전사 위기일발》은 온라인 및 로컬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지원한다.[6] 로컬 멀티플레이어 매치에서는 최대 4명, 온라인 매치에서는 최대 10명의 플레이어가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다.[6] 온라인 모드는 USB 키보드와 USB 헤드셋을 지원하며,[6] 싱글 플레이어의 모든 레벨은 멀티플레이어 모드에서 사용 가능하다.[8]게임에는 다양한 멀티플레이어 모드가 제공된다. 팀 기반으로 영토 점령을 목표로 하는 "정복" 모드,[6] 개인 간의 전투를 통해 점수를 얻는 "데스매치" 모드,[6] 최대 4개의 팀이 상대방의 깃발을 획득하는 "깃발 뺏기" 모드,[6] 홀로그램 원 안에 머물러 점수를 얻는 "킹 오브 더 힐" 모드,[6] 한 명의 플레이어가 강력한 능력을 얻고 다른 플레이어들이 그를 처치하여 능력을 뺏는 "재거너트" 모드[6] 등이 있다.
3. 등장인물
라쳇 & 클랭크: 업 유어 아스널의 사건 이후, 라쳇, 클랭크, 빅 알은 스타쉽 피닉스를 운영하는 임무를 맡게 된다.[9]
그들은 솔라나 은하계의 가장자리에 있는 무법 지대인 섀도 섹터로 이송된다. 라쳇은 참가자들이 대중의 오락을 위해 서로 죽이도록 강요받는 잔혹한 게임 쇼인 드레드존의 제작자인 글리먼 복스를 만난다. 라쳇은 드레드존에서 경쟁을 강요받고,[10] 그가 비협조적이거나 지루해지면 폭발하는 "데드락" 칼라를 착용하게 된다.[11]
원작의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 '''라쳇''' (츠무라 마코토): 과거에 은하를 세 번이나 구한 영웅. 복스의 손에 의해 섀도 세터에 있는 은하 스테이션으로 납치되어 드레드존에 출연하게 된다.
- '''클랭크''' (오오카와 토오루): 라쳇의 파트너로, 뛰어난 두뇌를 가진 로봇. 라쳇의 덤으로 처분될 뻔하지만, 서포트 요원으로서 라쳇을 돕는다.
- '''뚱보 알''' (타카토 야스히로): 천재 메카닉. 라쳇의 우주선에 놀러 왔다가 함께 납치되지만, 메카닉으로서 라쳇을 위해 배틀 슈트를 만든다.
- '''마시 & 그린''' (시로쿠마 히로시, 하나와 에이지): 라쳇을 호위하는 배틀 봇 2인조.
새로운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 '''글리먼 복스''' (쿠스미 나오미): 라쳇 일행을 납치한 장본인이자 본작의 최종 보스. 드레드존의 주최자이며, 잔혹한 장면을 좋아한다.
- '''슬러가''': 복스가 키우는 애완동물.
- '''댈러스''' (쿠스미 다이텐) & '''파니타''' (아메라 사키코): 드레드존의 전속 아나운서 콤비.
- '''세 명의 아이들''' (카와카미 토모코, 키타 아유미, 이케다 치구사): 팀 롬백스의 열렬한 팬.
- '''더미 봇''': 드레드존의 스태프.
- '''캡틴 스타실드''': 실력 있는 영웅이었으나, 오프닝에서 에이스 하드라이트에게 죽는다.
- '''터미네이트 4'''
- '''에이스 하드라이트''' (우치다 나오야): 드레드존의 톱 글래디에이터이자 현 챔피언. 과거에는 인기 영웅이었지만, 현재는 몰락했다.
- '''셸쇼크''' (타케토라): 본명은 "이반 폰 셸쇼크톤페르크". 화기를 몸 안에 장착하고 있다.
- '''리액터''' (노무라 켄지): 융합 원자로를 체내에 가진 발전 로봇.
- '''에비사레이터''': 바이오 기술로 만들어진 곤충형 글래디에이터.
- '''키드 노바''', '''하이드로 걸''', '''에이전트 제로''': 드레드존의 참가자.
- '''닥터 네파리어스''' (야마노 후미토) & '''로렌스''' (후쿠다 노부아키): 네파리어스는 과거에 인류 멸망 계획을 꾸미려 했던 로봇 범죄 과학자이고, 로렌스는 그의 집사이다.
- '''캡틴 쿼크''' (노무라 켄지): 자칭 영웅.
3. 1. 한국 등장인물과의 관계
4. 스토리
라쳇 & 클랭크: 업 유어 아스널의 사건 이후, 라쳇, 클랭크, 빅 알은 스타쉽 피닉스를 운영하게 된다.[9] 그러던 중, 로봇 군대가 피닉스를 점령하고 이들을 납치하여 섀도 섹터로 이송한다.[9]
라쳇은 그곳에서 잔혹한 게임 쇼 '드레드존'의 제작자인 글리먼 복스를 만나 드레드존에 강제로 참여하게 된다.[10] 라쳇은 비협조적이거나 지루해지면 폭발하는 "데드락" 칼라를 착용하게 된다.[11] "팀 다크스타"로 불리는 라쳇과 그의 전투 로봇 머크와 그린은 생존을 위해 싸우고, 클랭크는 라쳇의 "미션 엔지니어" 역할을 수행한다.[12]
라쳇은 드레드존에서 승리하며 가장 인기 있는 참가자가 되지만, 복스는 그를 비방하는 캠페인을 벌인다.[12] 드레드존의 이전 스타인 에이스 하드라이트는 라쳇을 질투하고, 결국 라쳇과의 대결에서 패배한다. 복스는 라쳇에게 엑스터미네이터가 될 것을 제안하지만, 라쳇은 거절한다.
한편, 클랭크는 라쳇을 드레드존 시설에서 탈출시킬 계획을 세운다. 라쳇은 복스가 스테이션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이를 돌파하여 발전기를 파괴하고 격리 필드를 비활성화하여 스테이션의 탈출 셔틀을 잠금 해제한다. 복스는 자폭 시퀀스를 활성화하여 라쳇과 함께 죽으려 하지만,[13] 알이 조종하는 셔틀이 라쳇을 구출하고, 클랭크는 그의 데드락 칼라를 제거한다. 드레드존 스테이션은 복스와 함께 폭발한다.
크레딧이 올라간 후, 닥터 네파리어스와 로렌스가 소행성에 갇혀 있는 카메오로 등장한다. 게임이 끝나면 연속극 "랜스 앤 자니스"의 클립이 재생되고, 더 플럼버가 게임에 출연하지 못한 이유가 전달된다.
복스 채널의 불법 텔레비전 쇼 드레드 존은 무수정, 무허가로 진행되는 배틀 스포츠이다. 은하 전역의 영웅들을 붙잡아 목숨을 건 싸움을 시키고, 그 모습을 방영하여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다. 드레드 존은 과거 두 영웅이 간식을 빼앗기 위해 싸운 것에서 유래되었다.
4. 1. 한국적 관점
5. 개발 및 출시
《Up Your Arsenal》이 완성된 후, 인섬니악은 시리즈를 더 발전시킬 방법을 생각했다. 약 한 달 반 동안 그들은 트위스티드 메탈과 유사한 차량 전투 게임인 《RCR: Ratchet Racing》을 제작했다.[14] 그러나 너티 독의 또 다른 차량 전투 게임인 《잭 X: 컴뱃 레이싱》에 대해 알게 되자 경쟁을 피하기 위해 《RCR》을 취소했다.[14] 그 후, 라쳇과 클랭크가 두 외계 종족 간의 세계적인 갈등 속에 있는 한 행성에 있게 되는 내용을 담은 《Ratchet & Clank: NEXUS》라는 제목의 게임을 개발하기 시작했다.[15](2013년의 《라쳇 & 클랭크: 넥서스》와는 관련이 없다[15]) 이 프로젝트는 나중에 《헤일로》 프랜차이즈에서 영감을 받아 더 어두운 이야기를 담은 《데드락》으로 방향을 바꾸게 된다.[17]
《라쳇: 데드락》은 2005년 4월 산타 모니카 스튜디오의 E3 사전 행사에서 공개되었으며, 이후 E3 2005에서 더 자세히 공개되었다.[18][19]
《데드락》은 2005년 10월 25일에 북미에서, 2005년 11월 23일에 일본에서 출시되었다. 유럽, 호주, 아프리카에서는 각각 2005년 11월 18일과 2005년 11월 24일에 《Ratchet: Gladiator》라는 제목으로 출시되었다.[20] 플레이스테이션 2 온라인 서버는 2012년 6월 28일에 종료되었다.
《데드락》의 고화질 리마스터 버전은 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에서 출시하기 위해 플레이스테이션 3에서 개발되었다.[21] 이 게임은 《라쳇 & 클랭크 컬렉션》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풀 프론탈 어썰트》를 구매한 사람들은 오랫동안 기다려온 플레이스테이션 비타 버전 《풀 프론탈 어썰트》에 대한 사과의 의미로 5월 21일에 HD 리마스터 게임을 무료로 받았다.[22] 플레이스테이션 3 버전의 온라인 서버는 2018년 2월 15일에 PS3의 《Up Your Arsenal》과 함께 종료되었다. 2020년 말에 서버는 이 시리즈의 팬들에 의해 부활했다.
6. 평가
이 게임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25][26][27][28][29][30][31][32][33][34] 2006년에는 ''라쳇 & 클랭크: 공구전사 위기일발''이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의 베스트 라인업에 북미 지역으로 추가되었다. 2006년 5월 12일에는 PAL 지역의 소니 플래티넘 라인업, 2006년 6월 29일에는 일본의 더 베스트 라인업에도 추가되었다. 2007년 6월 30일 기준으로 이 게임은 전 세계적으로 21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23]
6. 1. 한국에서의 평가
{{비디오 게임 평가|MC = 81/100[26]
|1UP = B+[27]
|CVG = 8.0/10[28]
|EuroG = 7/10[29]
|GamePro = 4.5/5[30]
|GSpot = 8.6/10[31]
|GSpy = 4/5[32]
|GameZone = 8.8/10[33]
|IGN = 8.8/10[34]
| align = none
}}
{{Video game reviews
|GR = 82.68%[25]
|MC = 81/100
|1UP = B+
|CVG = 8.0/10
|EuroG = 7/10
|GamePro = 4.5/5
|GSpot = 8.6/10
|GSpy = 4/5
|GameZone = 8.8/10
|IGN = 8.8/10
}}
''라쳇 & 클랭크: 공구전사 위기일발''은 한국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25][26][27][28][29][30][31][32][33][34] 특히 액션성과 다양한 무기 시스템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2006년에는 플레이스테이션의 베스트 라인업에 북미 지역으로 추가되었고, 2007년 6월 30일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21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23]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긍정적 평가가 한국 게임 산업 발전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평가하였다.
참조
[1]
Youtube
Retro GAMESPOT - Ratchet Deadlocked Developer Interview 1 (2005)
https://www.youtube.[...]
2021-06-12
[2]
Youtube
Ratchet Deadlocked Prima Strategy Guide Disc: Insomniac Games tour
https://www.youtube.[...]
2021-06-10
[3]
Youtube
Retro GAMESPOT - E3 Live 2005 Ratchet Deadlock
https://www.youtube.[...]
2021-06-12
[4]
Youtube
Retro GAMESPOT - Ratchet Deadlocked Developer Interview part 2 (2005)
https://www.youtube.[...]
2021-06-12
[5]
웹사이트
IGN Presents The History of Ratchet and Clank
http://retro.ign.com[...]
2021-06-13
[6]
서적
Ratchet: Gladiator Instruction Booklet
Sony Computer Entertainment Europe
[7]
웹사이트
Ratchet: Deadlocked
http://www.gamingtar[...]
2009-07-26
[8]
웹사이트
"''Ratchet:Deadlocked'' delivers co-op and squad-based gameplay in next installment of popular Ratchet & Clank series"
https://web.archive.[...]
Insomniac Games
2009-05-11
[9]
비디오 게임
Ratchet: Deadlocked
Sony Computer Entertainment
2005-10-25
[10]
비디오 게임
Ratchet: Deadlocked
Sony Computer Entertainment
2005-10-25
[11]
비디오 게임
Ratchet: Deadlocked
Sony Computer Entertainment
2005-10-25
[12]
비디오 게임
Ratchet: Deadlocked
Sony Computer Entertainment
2005-10-25
[13]
비디오 게임
Ratchet: Deadlocked
Sony Computer Entertainment
2005-10-25
[14]
Youtube
Ratchet Gladiator HD (With Developer Mike Stout!) - Part 16: What The Game ORIGINALLY WAS!
https://www.youtube.[...]
Tealgamemaster
2021-06-12
[15]
웹사이트
Ratchet & Clank: Into the Nexus Coming to PS3 This Holiday
2021-06-10
[16]
웹사이트
Ratchet & Clank: 10 Years of Concept Art
http://www.insomniac[...]
Insomniac Games
2012-08-21
[17]
Youtube
15 Years of Ratchet & Clank: A Lombax Story
https://www.youtube.[...]
Game Developers Conference
2021-06-10
[18]
웹사이트
Pre-E3 2005: Ratchet: Deadlocked Update
https://www.ign.com/[...]
2021-06-10
[19]
웹사이트
E3 2005: Ratchet Deadlocked Update
https://www.ign.com/[...]
2021-06-10
[20]
웹사이트
Release Dates /// Eurogamer
http://www.eurogamer[...]
2023-11-24
[21]
웹사이트
Ratchet: Deadlocked will be Remastered in HD via PSN Only
http://gamersxtreme.[...]
2012-05-10
[22]
웹사이트
Deadlocked HD Available Now! Instructions on how to Download
https://web.archive.[...]
Insomniac Games
2014-02-17
[23]
뉴스
Sitting out merger-go-round
https://www.newspape[...]
2007-11-26
[24]
서적
ファミ通ゲーム白書2007
エンターブレイン
[25]
웹인용
Ratchet: Deadlocked for PlayStation 2
https://www.gamerank[...]
2011-08-20
[26]
웹인용
"''Ratchet: Deadlocked'' PlayStation 2"
https://www.metacrit[...]
2009-08-18
[27]
웹인용
"''Ratchet: Deadlocked'' (PS2)"
http://www.1up.com/d[...]
2009-09-07
[28]
웹인용
"''Ratchet: Gladiator''"
http://www.computera[...]
Future Publishing
2009-09-07
[29]
웹인용
"''Ratchet: Gladiator''"
https://www.eurogame[...]
2009-09-07
[30]
웹인용
"''Ratchet: Deadlocked''"
http://www.gamepro.c[...]
2009-08-18
[31]
웹인용
"''Ratchet: Deadlocked'' Review"
http://www.gamespot.[...]
2009-09-07
[32]
웹인용
"''Ratchet: Deadlocked''"
http://ps2.gamespy.c[...]
2009-09-07
[33]
웹인용
"''Ratchet: Deadlocked'' Review"
http://ps2.gamezone.[...]
GameZone
2009-08-18
[34]
웹인용
"''Ratchet: Deadlocked''"
https://www.ign.com/[...]
2009-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